• 마지막이 될지 모를 그날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14-06-05 / 조회 : 10047
  • 첨부파일 :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큰제목)

마지막이 될지 모를 그날

 

(중간제목)

무심코 말한 안녕이 마지막 말이 될 수도

그렇게 말할수있는 사람이 있는 것에 감사

 

 

(본문)

<삼국유사>에 신라의 혜통 스님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출가하기 전 어느 날 스님은 집근처 시냇가에서 놀다가 수달 한 마리가 지나가는 것을 보았다. 몽둥이를 들고 쫓아가 수달을 잡은 스님은 껍질을 벗기고 뼈를 발라서 고기를 끓여먹었다.

이튿날 아침에 보니 마당가에 버린 뼈가 보이지 않았다. 대신 핏자국이 띄엄띄엄 있어 따라 가보니 근처 굴로 이어졌다. 굴 안에서 수달의 뼈는 새끼 다섯 마리를 안고 있었다. 새끼를 지키려는 어미의 마음에 크게 놀라워하다가 무심히 저지른 살생이 부끄러워 죄책감에 시달리던 스님은 마침내 출가를 결심하고 그 길로 절에 들어가 불법을 공부했다고 한다.

죽어서도, 뼈만 남아서도, 자식 챙기는 절절한 마음을 멈출 수 없는 것이 모성애이다. 하물며 내 몸은 멀쩡한데 어린 자식이 죽었다면 그 애통함은 얼마나 크고 깊겠는가. 내가 대신 죽어서라도 자식을 살리고 싶은 것이 모성애이다.

모성애로, 부성애로 활화산처럼 끓어오르던 진도 팽목항이 한산해지고 있다. 진도 실내 체육관을 가득 메웠던 실종자 가족들과 그들의 애타는 아우성은 하루하루 썰물처럼 빠져 나가고 있다. 대신 안산 올림픽 기념관에 마련된 합동 분향소가 붐빈다. 제발 살아서 구조되기를 온 국민이 기도했던 아이들은 시신이 되어서야 돌아왔다. 아직 시신으로도 아이를 찾지 못한 부모들은 분노와 절망감으로 피가 말라가고 있다.

세월호 침몰은 단순한 여객선 사고가 아니다. 상징성을 갖는다. 우선순위가 마구잡이로 뒤바뀐 사회의 단면을 뚝 잘라서 보여준 사건이다. 성장이 최고의 가치인 사회에서 기본적 가치들은 모두 뒤로 밀렸다. 사람의 안전은 생산성과 이윤에 밀리고 원칙과 책임은 편법과 적당주의에 밀렸다. ‘빨리 빨리’ ‘누이 좋고 매부 좋고’ ‘대충 대충이 씨줄과 날줄로 엮인 사회에서 안전망은 구멍투성이일 수밖에 없다. 거기에 국민 보다 윗선 눈치 보기에 급급한 관료조직이 더해지면서 총체적 부실은 완성되었다.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을까” “한치 앞을 모르는 게 우리네 삶” “있을 때 잘하자같은 말들을 주변에서 많이 듣는다. 선장, 승무원, 선사, 관련 부처 장관, 총리, 마침내 대통령에 대한 한바탕의 성토가 있고 나면 이어지는 주제는 죽음’ ‘상실’ ‘불확실성이다. 주머니 속 유리잔처럼 언제 깨어질지 모르는 우리의 삶의 조건이다.

연이은 재난들이 던지는 메시지가 있다. 언제 어떻게 될지 모르니 후회 없이 살라는 것이다. 사회뿐 아니라 개인의 삶도 가치의 우선순위가 확실해야 나중에 후회가 없다.

가라앉는 여객선내에서 안산 단원고 학생들이 죽음을 예감하며 보낸 카톡 메시지들은 사랑한다였다. “엄마, 내가 말 못할까봐 보내놓는다. 사랑한다는 메시지가 특히 눈길을 끌었었다.

어느 날 우리가 무심코 말한 안녕’ ‘잘 다녀올게’ ‘사랑해가 마지막 말이 될 수도 있다. ‘사랑한다고 말할 수 있고 그 말을 들을 사람이 있는 것에 감사하자.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