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복의 나라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12-09-27 / 조회 : 5769
  • 첨부파일 :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행복지수 ‘꼴찌서 둘째’, 자살률 ‘1위’
정부에 대한 신뢰 있어야 국민 행복해져


 올해 한국 대선에서는 ‘행복’이 주요 이슈가 될 모양이다. 배고프던 시절에는 ‘우리도 한번 잘 살아보세’가 온 국민을 하나로 묶는 가치였다. 앞만 보고 내달린 성장·개발주의로 선진국 문턱에 도달하자, 이제 국민들은 내부로 눈을 돌리기 시작한 것 같다.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다. 이런 변화를 정치인들이 파악한 것 같다. 대통령 후보들은 앞 다투어 ‘내 꿈이 이루어지는 나라’ ‘저녁이 있는 삶’ 등을 공약과 함께 슬로건으로 내세우고 있다. ‘그런데 어떻게?’의 문제가 남지만 국가의 성장에서 국민의 삶의 질로 정치적 지향점이 바뀌었다는 것은 의미가 있다. 국내총생산(GDP)에서 국민 총 행복(GNH)으로의 전환이다.
 우리나라는 이제까지 별로 행복하지 않은 나라로 꼽혀왔다. 최근 발표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국가의 삶의 질(행복지수)’에 관련 연구에서 34개 국가 중 32위로 꼴찌에서 두 번째를 기록했고, 나아가 자살률은 이들 국가 중  1위, 최고를 기록했다. 한마디로 국민들은 행복해하지 않고 죽고 싶은 심정인 것으로 드러난 셈이다. 
 ‘행복한 나라’를 말할 때 보통 두 나라가 꼽힌다. 복지국가의 모델인 덴마크 그리고 ‘국민 총 행복’을 창안한 불교국가 부탄이다.
 덴마크는 행복 보고서마다 단골 1위 국가이다. 지난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보고서에서도, 지난 4월 유엔의 세계 행복보고서에서도 1위다. 소득보다는 정치적 자유, 탄탄한 사회관계망, 부패 정도, 그리고 개인적 차원에서는 심신의 건강과 일자리의 안정성, 가족관계의 긴밀함 등에 비중을 두면서 내려진 결과이다. 덴마크의 행복 비결은 세금 많이 내서 모두가 함께 잘 사는 것이다. 최고 60%에 달하는 세금으로 국가는 전 국민에게 의료, 교육 등 모든 복지혜택을 무료로 제공한다. 요람에서부터 무덤까지 안락한 삶이 보장되니 국민은 스트레스 받을 일이 별로 없다. 주 37시간 근무에 휴가는 연간 6주. 가족친지들과 자주 어울리며 사는 것이 덴마크 식 삶의 방식이다.
 반면 부탄의 행복 비결은 다른 가치관이다. 가진 것 없어도 서로 나누며 오순도순 행복하게 살았던 과거 한국의 시골생활을 생각나게 한다. 인구 70만에 1인당 소득은 2000달러도 안 되는 풍요와는 거리가 먼 나라이다. 그런데도 국민들은 행복해 한다. 40년 전 4대 국왕인 지그메 싱예 왕추크 왕이 경제적 발전보다는 국민의 행복을 통치의 기본으로 선포하면서부터이다. 그가 만든 ‘국민 총 행복(GNH)’은 이제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다.
 덴마크와 부탄은 객관적으로 전혀 다르지만 공통점이 있다. 빈부격차가 별로 없다는 것 그리고 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는 것이다. 세금을 아무리 많이 내도, 다른 나라들에 비해 아무리 가난하게 살아도 정부가 국민을 위해서 정직하게 일한다는 신뢰감이 있다.
 이제 우리나라도 ‘행복의 나라’로 나갈 채비를 하고 있다. 하지만 5천만 국민행복은 몇 가지 정책변화로 얻어지지 않는다. 정부에 대한 기본적 신뢰가 있어야 국민은 행복해질 수 있다.

위로